소속 | 대전가톨릭대학교 신학과 교수 |
---|---|
약력 |
|
저서
『신비체험의 인간학』, 아빌라 신비신학대학원, 2009.
『성 토마스의 신학대전에서 본 여정자 인간』, Teresianum, 2001.
『성녀 데레사가 초대하는 기도 여정』, 서울, 기쁜소식출판사, 2013.
『가르멜 영성의 발자취를 따라서』, 서울, 기쁜소식출판사, 2014.
『현대인을 위한 성녀 데레사의 영성』, 서울, 기쁜소식출판사, 2015.
『성녀 에디트 슈타인 영성 입문』, 서울, 기쁜소식출판사, 2016.
『영성: 하느님을 바라보다』, 서울, 가톨릭출판사, 2020.
『가르멜 수도회의 역사 제1권』, 서울, 기쁜소식출판사, 2020.
『그리스도교 영성의 효시 오리게네스』, 서울, 가톨릭출판사, 2020(*근간).
『삼위일체의 성녀 엘리사벳 입문』, 서울, 기쁜소식출판사, 2020(*근간).
역서
『신학적 인간학』, 서울, 가톨릭대학출판부, 2004.
『교회론』, 서울, 가톨릭출판사, 2008.
『신학적 인간학』, 서울, 가톨릭출판사, 2011.
『은총론』, 화성, 수원가톨릭대학출판부, 2011.
『성녀 데레사의 기도 영성』, 서울, 기쁜소식출판사, 2012.
『성녀 데레사와 함께 하는 창립사 묵상』, 서울, 기쁜소식출판사, 2012.
『성녀 데레사와 함께 하는 완덕의 길 묵상』, 서울, 기쁜소식출판사, 2012.
『성녀 데레사의 그리스도 체험』, 서울, 기쁜소식출판사, 2013.
『한 사목자의 성찰: 교황 프란치스코-자비』, 서울, 생활성서사, 2013.
『한 사목자의 성찰: 교황 프란치스코-희망』, 서울, 생활성서사, 2014.
『창조론』, 서울, 가톨릭출판사, 2014.
『성녀 에디트 슈타인의 십자가 학문』, 서울, 기쁜소식출판사, 2014.
『성녀 데레사의 서간집 제1권』, 서울, 기쁜소식출판사, 2014.
『성녀 데레사 소품집』, 서울, 기쁜소식출판사, 2015.
『종말론』, 서울, 가톨릭출판사, 2015.(*공역)
『아버지처럼 자비로워지십시오』, 서울, 생활성서사, 2015.
『삼위일체론』, 서울, 가톨릭출판사, 2017.
『삼위일체의 성녀 엘리사벳 전집 제1권(영적 작품들)』, 서울, 기쁜소식출판사, 2017.
『나는 성령을 믿나이다 3권』, 서울, 가톨릭출판사, 2018.
『신학사 3권』, 서울, 가톨릭출판사, 2018.
『사제직(신학과 영성)』, 서울, 가톨릭출판사, 2018.
『성녀 데레사의 창립사』, 서울, 기쁜소식출판사, 2018.
『삼위일체의 성녀 엘리사벳 전집 제2권(서간집 1)』, 서울, 기쁜소식출판사, 2018.
『삼위일체의 성녀 엘리사벳 전집 제3권(서간집 2)』, 서울, 기쁜소식출판사, 2018.
『갓 이즈 영(청년들을 위한 교황님의 메시지)』, 서울, 가톨릭출판사, 2018.
『그래도 희망(대림시기 교황님 강론집)』, 서울, 가톨릭출판사, 2019.
『4차 산업혁명과 인류의 미래』, 화성, 수원가톨릭대학출판부, 2019.(*공역)
『신학사 4권』, 서울, 가톨릭출판사, 2020(*근간).
『그리스도론』, 서울, 가톨릭출판사, 2020(*근간).
『마리아론』, 대전, 대전가톨릭대학출판부, 2020(*근간).
『수도생활신학 1~3권』, 서울, 가톨릭출판사, 2020(*근간).
논문
「성녀 소화 데레사의 소명에서 본 ‘사랑’」, 가톨릭대학 신학부, 1995(석사논문).
「발타사르의 ‘Teodrammatica’에서 본 그리스도의 Kenosis와 인간구원」, Teresianum, 1997(박사학위논문).
「십자가의 성 요한의 인간학적 전망에서 본 ‘초본성’ 개념」, 《신학과 철학》 제14호(2009/05), pp.47-77,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후안 알파로의 전망에 따른 본성과 초본성간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 고찰」, 《신학과 철학》 제16호(2010/05), pp.37-68,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아빌라의 성녀 데레사의 기도 단계 1」, 《신학과 철학》 제18호(2011/05), pp.127-158,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아빌라의 성녀 데레사의 기도 단계 2」, 《신학과 철학》 제20호(2012/05), pp.109-142,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성 토마스의 '신학대전'에서 본 '여정자'(viator) 인간」, 《신앙과 삶》 제28호(2013/09), pp.40-73, 부산가톨릭대학교.
「영성의 바탕으로서의 신학적 인간학」, 《신학전망》 제187호(2014/12), pp.244-270,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기도의 원천으로서 향주삼덕」, 《신학전망》 제188호(2015/03), pp.230-249,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영성의 바탕으로서의 철학적 인간학」, 《신학전망》 제189호(2015/06), pp.204-230,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그리스도교 영성의 원류인 오리게네스」, 《신학전망》 제204호(2019/03), pp.199-219,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오리게네스의 인간학과 주요 영성 주제들」, 《신학전망》 제205호(2019/06), pp.282-313,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삼위일체의 성녀 엘리사벳의 영성 주제들」, 《신학전망》 제206호(2019/09), pp.240-278,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인간에 대한 보편적 성화 소명의 실현 과정」, 《신학전망》 제208호(2020/03), pp.237-258,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초본성 문제에 대한 역사적 고찰」, (신학과 철학, 2009)
「‘신학대전’에서 본 여정자 인간의 본성」 (복음과 문화, 2014)
「십자가의 성 요한의 영성에서 본 사랑에 대하여」 (복음과 문화, 2015)
「십자가 성 요한의 인간학의 주요 주제들」 (복음과 문화, 2016)
「영성의 원류 오리게네스」 (신학전망, 2019)
「안티오키아의 성 이냐시오 영성의 주요 주제들」 (신학전망, 2020)
「영성신학에서 본 영적식별의 기준, 적용, 영의 표지」 (이성과 신앙, 2020)